글 제목 : 청소년예배 2 - 영상을 활용한예배
한국YFC [homepage]님께서 남기신 글 |
(2003-12-09 16:37:14, Hit : 684) |
Ⅰ. 영상언어의 이해 영상언어란, 새로운 언어가 아니다. 사실은 영상언어는 창조하신 하나님께서 우리 사람들에게 부어주신 삶의 경험이라는 것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끄집어내는 과정 속에서 만들어진 용어일 뿐이다. 1. 영상에 관하여... 영상의 자전적(字典的)의미는 映(비췰 '영') 像(형상 '상')이다. 이 단어를 풀이 해 보면 '어 떤 象이 비치어 像이 되는 것'을 말하며 辭典的의미는 다음과 같다. 1.광선의 굴절이나 반사에 따라 비친 물체의 모습. 2.머릿 속에 떠오르는 사물의 모습, Image,心像. 3.영화나 텔레비전의 畵像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영상이란 빛의 작용에 의해서 우리의 망막과 뇌에 어떤 '형태'로 인식된 것을 말한다. 또 이러 한 영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Image를 창조하며, 그것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잔잔한 호수에 비친 산의 형상이나 자신의 모습, 태양이 비췰 때 생기는 그림자, 눈동자에 비친 사물의 형상, 이러한 현상 즉 자연적으로 생긴 영상의 현상을 '영상현상'이라고 한다.
'영상현상'에 대한 像의 정착 노력이 과학과 예술을 낳았고, 영상현상이 우리의 두뇌 속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 시각적 사고와 인지과정이다. 영상현상은 사물의 '象이 비췬 것'과 빛의 작용에 의해서 시각 정보들이 우리의 망막과 뇌에 어떤 형태의 사물로 인식되기 위해 어렴풋한 형상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하며(知覺像) 또 자연의 象이나 머릿 속에 있는 心像을 가시화 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象(회화, 사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등)을 말한다.(形象像) 이러한 像은 머릿속에서 다시 새로운 像으로 전달되는데, 이것은 개인의 신념과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事象을 보고 자신의 머릿속에서 어떠한 像을 형성한다.이러한 '영상현상의 과정'은 본다는 것만의 개념이나 능력이 아니라 우리가 학습한 것과 신념의 산물로서 꿈을 꾸거나 想像과 같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像도 포함하고 있다.
자연이 像으로 나타난 현상 즉 영상현상을 이용하려는 노력은 거울을 탄생시키게 되었고 거울에 나타난 영상을 영구히 정착시키려는 노력은 사진을 탄생시켰다. 사진은 다시 영화, 텔레비전, Multimedia로 발전했다. 2. 언어에 관하여... 사람과 동물을 구별하는 유일한 척도는 사람이 언어를 가졌다는 것이다. 동물은 언어와 유사한 신호를 가지고 있지만, 언어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언어는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種에 特有 한(Species-pecific)현상이다. 인류의 전 역사 과정 속에서 독자적이며 대등한 두 개의 문화적 기호를 발견하게 되는데 그것 이 글과 그림이며, 양자는 각각 자신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발전을 위해서는 두 유형 의 기호체계 모두가 존재해야 했고 또 양자가 서로 병존하면서 발전되어 왔다. 두 종류의 기호 를 기초로 하여 두갈래의 예술, 즉 造形藝術과 言語藝術이 발전해 왔다.
언어는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또한 커뮤니케이션은 언어의 원인이기도 하다. 언어는 고안된 기호의 체계이지만, 시각언어 즉 영상언어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기호로 되어 있고, 거기서 선택하고 배열하여 발전시킨 것이다.
문학이 언어를 표기하는 문자기호에 의존하고, 음악이 청각기관을 자극하는 소리에 의존하며, 무용이 인간의 신체에 의존하는 것에 비해 사진과 영화, 그리고 텔레비전은 영상에 의존해 표현하는 매체이다. 영화나 텔레비전과 같은 '動映像 언어매체'는 어떤 事象과 思想을 관객이나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이들 매체는 근본적으로 언어의 속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 영화와 텔레비전은 자연언어(口述言語,청각언어,문자언어)와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영상언어'라는 용어를 얻게 되었다
김현수의 미술학 석사학위 논문 'TV News의 Visual Communication에 관한 연구'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1997, 경성대학교, pp. 7 - 8에서 발췌.
3. '영상'의 궁극적 목적은 '시각정보의 Communication'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언어는 영상을 만드는 사람들의 창작의 산물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그것은 이미 태초의 그 순간에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 두신 상상력의 산물일 뿐이다. 그 상상력은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고, 경험을 한사람만이 경험을 토대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갖가지 영상들이 뿜어내는 '말'들을 알아듣게 되는 것이다. 미술학도의 논문에서 발견했듯이 보는 것이 곧 영상언어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는 것이다. 영상을 만드는 사람들은 위에서 언급한, 인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미 각각의 사람들의 안에 내재되어있는 영상적 이미지들을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끄집어내는 일을 시도하는 것뿐이다. 아니 오히려 무엇인가를 시도하여 보는 자들의 생각에 간섭하는 것이 아니라, 고유한 자신만의 기술을 이용해서 보는 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기억 속에서 보여주는 자의 의도를 찾아내도록 교묘하게 "속이고"있는 지도 모른다.
4. 영상을 맛보자! 1) 일출의 기억 ... 정동진, 태종대, 낙산사, 경포대...
2) 가을의 들판, 그리고 석양
3) 아버지
4) 십자가, 예수그리스도의 초상
Ⅱ. 영상의 문법을 만드는 사람들 영상문법이란 영상언어를 효과적, 혹은 개성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여주는 사람의 의도를 충분히 느끼도록 도와주는 배려심이라고 하면 너무 미화한 표현일까? 어찌되든지 보여주는 사람은 분명한 자기의 의도를 보는 사람들이 충분 히 느끼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것을 위해서 크게 네 가지의 의도적 행동들이 이루어 질 수 있 다.
첫째, 카메라를 이용한 행동들 1) 카메라의 위치
2) 카메라의 사이즈
3) 구도
둘째, 연기자를 이용한 행동들 1) 감정표현(연기)
2) 대사
셋째, 주변 환경 및 사물을 이용한 행동들
넷째, 사운드를 이용한 행동들
작은 결론 영상을 만든다는 것은, 도전하는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영상이라는 도구에 완전히 실어 서 보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것이다. 사람들의 기억을 훔쳐내고 그 기억의 한 중앙에 자리하여 새로운 감정과 느낌으로 그들에게 다가서는 것이다. 이미지의 시각화, 이 용어가 오늘 더욱 소름끼치는 것은 내 안에 너무나 많은 이미지가 왜곡된 모습으로 보여준 그들의 의도대로 그려진 것을 내가 느끼기 때문이다.
Ⅲ. 예배는 무엇인가? 1. 영상으로 예배하는 사람들 1) 왜 영상으로 예배하는가? 386세대 이상은 영상이 없어도 은혜 받는 데 지장이 없다. 목사님 말씀만 들어도 은혜 요, 성령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다. 하지만 X세대 Y세대 N세대로 일컬어지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자라온 아이들은 이미 어릴 때부터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자라왔기에 이들을 교 회로 이끌기 위해서는 교회 안에 멀티미디어 환경을 갖추어야 효과적으로 그들을 전도하 고 교육할 수 있다. 아울러, 장년 교육에도 엄청난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목회에 있어서 멀티미디어의 활용은 효과적인 복음 전달 및 교육을 위한 시대적 요청 이다. TV, 컴퓨터라는 메체를 뛰어 넘어서 최근에는 모바일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헨드폰 과 위성을 이용한 영상 문화의 범람이 위험 수위에 임박할 정도로 우리 주변에 가득 차 있는... 이른바 환경의 하나가 되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없을까?
2) 어떻게 영상으로 예배하는가?(예배 기획) a. 예배의 구성... 어떻게 구성 할 것인가? 경배(높임) 감사 회개 말씀 헌신 찬양과 교제 b. 영상의 종류... 어떤 영상을 사용 할 것인가? 동영상/정지영상 플레시 파워포인트 에니메이션 c. 영상의 활용... 언제, 어떤 영상을 사용할까? 3) 평가 예배를 평가한다는 것이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이것은 예배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 라 예배의 요소들을 잘 살펴서 예배를 올바로 준비하고 더 나은 예배로 하나님께 드리고 자하는 준비의 모습이 된다. 예배를 잘 돕는 영상이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예배를 오히려 방해하지는 않았는지, 무엇 보다도 예배의 요소로써 부족함이 없는지 등을 점검한다.
말씀 속으로 나아가며... 고후 2:14-16 항상(恒常)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기게 하시고 우리로 말미암아 각처(各處)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시는 하나님께 감사(感謝)하노라 우리는 구원(救援) 얻는 자(者)들에게나 망(亡)하는 자(者)들에게나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의 향기(香氣)니 이 사람에게는 사망(死亡)으로 좇아 사망(死亡)에 이르는 냄새요 저 사람에게는 생명(生命)으로 좇아 생명(生命)에 이르는 냄새라 누가 이것을 감당(堪當)하리요 | |
|
|